로고

Work

사람·공존·기술
풍요로운 기술과 솔루션 그리고 새로운 비전

Solution

모든 것의 중심엔 언제나 사람이 있습니다.
우리는 IT기술을 통하여 '사람중심''세상 모든 사물'을 연결하고자 합니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컨설팅, 브랜딩, 기획, UI/UX 디자인, 커스터마이즈 된 개발
영역까지 IT 전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생각하며 크리에이티브하고 사람을 향하는 전사적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IoT(사물인터넷), 클라우드 환경 등 4차산업 기술발전에 따른 최신 트렌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최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T CMS는 각종 S/W개발관련 법규 및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였고, 웹표준 및 웹접근성, 그리고 반응형웹을 적용하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GS인증(1등급) 획득하였으며,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 최신버전
v4.2 호환성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CT CMS 사진
소프트웨어 상장 사진

기능 및 구성도

CT CMS 이미지
각종 SW
개발관련
지침준수
국정원인증
알고리즘
메뉴관리, 컨텐츠궈한관리, 팝업존관리,
통계관리, 수요조사관리, 조직도 관리
컨텐츠 관리, 관리자권한관리, 팝업창관리,
SNS관리, 설문조사관리, 로그관리
시스템관리, 회원관리, 배너관리, 일정관리,
통계관리, 통합관리
템플릿관리, 게시판관리, 답글관리, 만족도관리,
개인정보관리, 모듈추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 / 웹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 워크 4.2

SNS 연동

sns 연동 사진

연계

연계 사진

사용자 그룹

사용자그룹 사진
우관기관 사진

특장점

CT CMS는 수많은 공공기관 홈페이지 구축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과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개발된 미래지향적인 솔루션으로서 개발자도 운영자의 만족도를 높여줍니다.

시스템 구축

  • 기능추가 및 사이트확대가 용이
  • 구축일정의 단축
  • 사업수행의 안정성 확보
  • 웹표준 (호환성/웹접근성 강화)
  • 웹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

시스템 운영/관리

  • 최신디자인 템플릿 제공
  •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절감
  • 표준화된 통합 업부환경 구축
  • 반응형 웹으로 PC 및 모바일 일원화

시스템 활성화

  • SNS 연동, 만족도 조사, 설문조사 등으로 사이트 활성화
  • 다양한 통계기능 제공으로 마케팅
  • 전량 및 향후 개선방안 수립

시스템 연계

  • 다양한 시스템과의 연계
  • 기능추가 및 사이트 확대 용이
  • 특정시스템 및 프로그램으로부터 종속성 탈피

현재 공공조명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방안을 제시하며, 유지관리는 물론 미래예측까지 관리에 최적화된 시스템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며 확장력 있는 IoT기반의 공공조명 관리시스템입니다.

e-IoT 공공조명 사진
e-IoT 공공조명 사진

특장점

보안등 제어 모듈

  • 원격 on/off 제어 모듈
  • 누전차단 및 감지 모듈
  • 사전 고장예고(안정기 or 램프) 및
    자동 고장 진단(어드레스 할당)

통신 시스템

  • CDMA등 유무선 통신 시스템 개발
  • 한전의 전력 IOT 기반의 SPIN 표준
    적용으로 유지보수 혁신

전자식 전력량계 모듈

  • E-Type 전자식 전력량계 개발
  • 조명 제어 모듈과 연동할 수 있는
    표준 인터페이스 개발

클라우드 기반 통합
관제서버 및 DB 구축

  • 전력량 데이터 수집
  • 보안등 관리상태 수집
  • 전력량 모니터링
  • 원격제어 및 고장진단 프로그램

효율적 관리 하이브리드앱 구축

  • 고장신고, 업무처리앱 개발
  • 편한 UI/UX기반의 스마트워크 구현
  • 신고에서 보수까지 원스탑서비스 구현

특장점

시스템 구축 및 관리

  • 반응형 웹PC모바일 일원화
  • 메뉴추가 생성 및 확대용이
  • 사업수행의 안정성 확보
  • 웹표준 보안 준수(웹접근성 강화)

효율적인 하이브리드앱 구축

  • 효율적인 온라인 예약
  • 연장신청 및 위치정보
  • 자동연산 통계기능
  • 키오스크 연계확대

세이프트론(SafeTron)은 복잡하고 어려운 위험성 평가 및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시스템입니다.

세이프트론 목업 이미지

중대재해처벌법

  • 중대재해 처벌법은 21년 1월 26일 제정되어, 22년 1월 27일부터 50명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24년 1월 27일부터는 5인 이상 50명 미만 사업장으로까지 확대 적용 되었습니다.
  • 중대재해 처벌법은 중대재해가 발생한 원인을 경영책임자, 사업주 뿐만 아니라 법인, 기관에도 있다고 보아 법인과 경영책임자/사업주를 동시에 처벌할 수 있습니다.
  • ① 사망에 해당하는 중대재해 발생 시: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 징역과 벌금을 병과
  • ② 부상 또는 직업성 질병 재해 발생 시: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 ③ 중대산업재해로 선고받은 형이 확정된 후 5년 이내에 재발 시, 각 형의 2분의 1까지 가중처벌

산업안전보건법 위험성 평가

  • 위험성평가는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로 인한 부상이나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평가해 감소대책을 수립하는 절차로,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해야 합니다.
  • 22년 11월 30일고용노동부는 23년부터 300인 이상 대기업을 대상으로 위험성평가를 의무화한다고 발표, 24년에는 50~299인, 25년에는 5~49인 사업장까지 확대됩니다.
  • 위험성평가는 1회성이 아니며, 매년 또는 사업장에 변화가 생길 때마다 수시로 실시해야 합니다.
  • 산업안전보건법 위험성평가 미실시 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처분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75조 5항 1호)

서비스 도입 효과

법적 요구사항 준수

체계적인 안전관리

  • 중대재해처벌법을 충족하기 위해 사업장별로 다양한 기능 제공

안전보건 경영방침 및 목표 수립

  • 사업장에 맞는 안전보건 정책과 목표를 설정 공유하여, 법적 요구사항을 명확히 함

직원 지정

  •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련 업무를 수행할 직원 지정 공유,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함

위험성 평가 활동

  • 유해, 위험 요인을 식별하고 개선하는 활동 지원
  • 고용노동부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업종별 템플릿 설정
  • 업무(직군)별 템플릿 설정 선택을 통한 관리

비상 매뉴얼 마련

  • 비상 대피도, 비상연락망, 이송 병원 등 비상 매뉴얼 작성 공유하여 비상상황에 신속 대응하도록 함

안전 문화 조성

  • 직원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고,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에 기여.
  • 원격지에서도 공지사항, 동영상 및 MSDS등의 교육 자료와 유해·위험요소 발굴 기능 등을 통해 지속 적인 교육과 정보 공유 가능

ESG 목표 달성 지원

  •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 수립에 기여
  • 안전한 작업 환경은 ESG 평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 중대재해 예방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중요한 요소

비용 절감 효과

  • 사고 예방으로 인한 의료비 및 법적 비용 절감 효과
  • 셀프 예방 점검 기능을 통해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안전 점검을 실시, 위험 요소를 조기에 발굴, 대처 가능

SI/SM

트로닉스는 최신 IT기술의 선두주자로 자리잡기 위하여
웹접근성, 스마트 모바일 등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system area 사진

Clients

R&D

국가 R&D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통해 축적한 역량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의 ICT 기술을 활용한 사물인터넷(IoT),
에너지 관리 기술(EMS) 제품을 연구하고 있으며, 데이터 자동수집, 저장(Cloud), 분석(Big Data) 및 성능효율화(Machine Learning)
4차 산업시대를 맞아 트로닉스는 IoT에너지 저장 관리 분야에서 축적된 서비스 및 플랫폼 구축 기술과 IoT 기술을 융합하여
인간과 시스템이 소통하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기업부설연구소R&D

ICT/IoT

IoT 관제 시스템

저비용 구역망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개발하여, 사물에 데이터 송수신 단말 장치를 설치하며 사물의 정보를 관리 제어, 모니터링은 물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래예측까지 하는 시스템

에너지(xEMS)

에너지관리시스템

건물에너지 성능 시뮬레이션,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에너지 데이터 수집, 클라우드 서비스, 머신러닝을 통한 성능 분석 및 효율화, 블록체인을 통한 신뢰성 확보 기술 등을 융합한 고도화된 솔루션

SMART CITY

개방형 플랫폼

스마트시티 내 생성되는 모든 센서, 데이터 정보를 모으고 공유할 수 있는 개방형 OPEN 플랫폼으로 국제표준 (oneM2M) 기반의 검증된 오픈 프레임워크 기반 플랫폼 시스템


로딩중